탄성신율은 하중이 작용할 때 로프가 늘어나며 생기는 변형(처짐)을 나타낸다. 하중이 제거되면 로프는 초기상태로 복원된다.
예: DP9 로프의 경우 최소파단력의 5% 하중 이 걸릴 때. 로프길이의 0.091 % (길이 100 m, 91 ㎜에 해당)
Brugg Lifting 승강기용 로프는 특히 낮은 탄성신율이 특징이다.
영구신율은 로프 설치 후 운행으로 인하여 로프길이가 최대로 늘어져 초기상태로 복귀하지 않는 로프의 처짐량이다.
로프의 영구 늘어짐으로 인해 로프 커팅작업이 필수적이나, 당사제품은 늘어짐이 적어 로프 커팅작업이 불필요하다.
영구신율은 로프의 서비스 예상수명의 약 2%에서 발생된다.
아래 그래프는 다양한 유형의 로프 영구신율을 비교한다. Brugg Lifting의 승강기로프는 특히 영구신율이 매우 낮다.
최소파단하중(Minimum Breaking Load)
최소파단하중(MBL)은 로프가 파단 되기 전에 로프에 가해지는 최소하중이다. 우측그래프는 다양한 종류의 로프 최소파단하중을 비교한다.
i-Line과 컬러코딩
정확하게 설치된 승강기로프는 승차감을 개선하고, 가동중지시간을 줄이고, 승강기의 서비스 수명과 안전을 증가시킨다.
모든 승강기 로프는 로프구조나 생산자와 관계없이 설치 중에 쉽게 풀릴 수 있다.
생산과정에서 승강기용 로프에 적용되어 있는 i-LINE의 기능을 통해 로프 풀림을 쉽고 빠르게 확인함으로써 풀림을 현장에서 즉시 조정할 수 있다.